· 최초 작성일: 2025-11-20
· 최근 업데이트: 2025-11-20
· 업데이트 주기: 매월 1회 (금감원·은행 공시 기준 반영)
· 참고 출처: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한눈에, 각 은행 상품공시
2025년 비대면 적금 금리 비교 (12개 은행 기본금리·최고금리 한눈에 정리)
• 2025년 비대면 적금 금리는 약 2% ~ 30% 범위입니다. • 우대조건은 대부분 앱 로그인, 자동이체처럼 간단합니다. • 아래에서 월 30만·50만 원 기준 세후 이자까지 직접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
적금은 가장 기본적인 금융상품이지만,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고 매달 바뀌는 경우도 많아 혼란스럽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.
특히 2025년처럼 시장 금리가 빠르게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“지금 어디가 가장 높은 금리를 줄까?”가 더 중요한 질문이 됩니다.
그래서 이 글에서는 12개 주요 은행의 비대면 적금 금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.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금리 흐름 → 비교표 → 세후 계산 → 선택 팁 순서로 설명합니다.

1. 2025년 비대면 적금 금리 흐름
2025년 비대면 적금 금리는 전반적으로 3% 전후에 머물러 있습니다. 갑작스러운 급등락보다는 완만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.
비대면 적금이 특히 인기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.
첫째, 지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앱에서 바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 둘째, 오프라인 상품보다 금리가 0.1~0.3%p 더 높은 경우가 흔합니다.
우대조건도 단순해졌습니다. 과거에는 카드 실적, 급여이체 등 여러 조건이 필요했지만 요즘은 앱 로그인 한 번, 자동이체 등록 정도면 최고금리에 가깝게 받을 수 있습니다.

2. 2025년 비대면 적금 금리 비교표 (12개월 기준)
아래 표는 주요 12개 은행의 비대면 적금 금리를 세전·12개월 기준으로 정리한 공간입니다. 실제 숫자는 운영자가 금융감독원·은행 공시를 확인한 뒤 직접 입력하면 됩니다.
*은행마다 기간이나 월 저축한도가 다르기때문에 가입 전 확인 바랍니다.
| 은행명 | 상품명 | 기본금리 | 최고금리 | 우대조건 요약 |
|---|---|---|---|---|
| 우리은행 | 우리 두근두근 행운 적금 | 2.5% | 12.5% | 자동이체, 앱 로그인 |
| 국민은행 | KB스타적금III | 3% | 6% | 급여·자동이체 |
| 신한은행 | 언제든 적금 | 4.2% | 7.7% | SOL 앱 미션 |
| 하나은행 | 오늘부터 하나적금 | 2% | 7.7% | 신규 우대 |
| 카카오뱅크 | 카카오뱅크 26주적금 | 2% | 5% | 26주 미션 |
| 케이뱅크 | 궁금한 적금 | 3% | 7.5% | 주거래 우대 |
| 토스뱅크 | 자유적금 | 2.5% | 5% | 잔액 조건 |
| SBI저축은행 | 한달적금 | 5% | 30% | 비대면 신규 |
| OK저축은행 | OK금연적금 | 4.8% | 9.6% | 신규 우대 |
※ 금리는 변동되므로, 가입 직전 반드시 금융감독원·은행 공식 공시에서 재확인해야 합니다.

3. 월 30만·50만 원 적금, 세후 이자 계산
적금은 매달 금액을 나누어 넣는 방식이라 일반 예금과 계산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.
적금 이자 계산 공식(12개월기준) - (적금 계산기 검색하여 확인하시는게 편합니다.)
- 세전 이자 = 월납입금 × 금리 × (개월 수 + 1) ÷ 24
- 세후 이자 = 세전 이자 × 0.846 (세금 15.4%)
예시 1) 월 30만 원, 금리 5%
· 세후 이자: 82,485원
예시 2) 월 50만 원, 금리 7%
· 세후 이자: 192,365원

4. 나에게 맞는 비대면 적금은 무엇일까?
① 우대조건이 복잡한 게 싫은 경우
우대조건 없이도 기본금리가 높은 1금융권 상품을 우선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. 안정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.
② 최고금리를 확실히 받고 싶은 경우
인터넷은행이나 저축은행의 적금이 유리합니다. 다만, 자동이체·앱 미션 등 조건을 꾸준히 지켜야 최고금리에 도달합니다.
③ 소액으로 뿌리를 다지고 싶은 경우
하루 2,000~5,000원 정도로 시작하는 '소액 적금'이 적합합니다. 카카오뱅크의 26주 적금처럼 습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.
5. 비대면 적금 가입 전 체크리스트
- 기본금리가 3% 이상인가?
- 우대조건을 무리 없이 지킬 수 있는가?
- 최신 공시 기준 금리를 확인했는가?
- 세후 이자까지 계산해봤는가?
- 내 생활 패턴과 실제로 잘 맞는가?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비대면 적금이 오프라인보다 금리가 높은 이유는?
지점 운영비가 적어 상품 설계에 금리를 더 배정하기 때문입니다.
Q2. 금리는 얼마나 자주 바뀌나요?
보통 1~3개월 단위로 바뀌지만 은행 상황에 따라 더 빨리 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Q3. 중도해지하면 손해가 큰가요?
네. 대부분 중도해지 금리는 매우 낮아 사실상 이자 혜택이 거의 없습니다. 가능하면 만기 유지가 좋습니다